오늘의 하루한클은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독일, 1833.5.7 ~ 1897.4.3)가 1865년 완성한 유일한 '피아노 5중주'입니다. 이 곡은 슈만의 곡과 피아노 5중주 장르의 정상을 나란히 점유하고 있는 역작으로 평가됩니다. 이 곡은 처음에는 두 대의 첼로가 가세한 현악 5중주 형태로 작곡되었다가 요하임의 논리에 설득 당해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Op.34b)로 변경을 했습니다. 클라라 슈만의 편지와 헤르만 레비의 제안으로 피아노 5중주 형태로 변경을 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습니다. 1악장의 시작하는 주제가 인상깊은 곡입니다.
오늘의 하루한클은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독일, 1833.5.7 ~ 1897.4.3)가 1865년(32세) 작곡한 '첼로 소나타 1번'입니다. 이 곡은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와 함께 자주 연주되는 낭만파 시대의 대표적 걸작으로 평가받습니다. 특히 모든 악장이 단조로 이루어져 있어 가을에 잘 어울리는 곡으로 황량한 북국의 정취를 지녔다는 평입니다. 브람스의 로맨틱한 환상이 넘치는 명작이라는 평도 있습니다. 그리그는 '안개와 구름으로 찢긴 풍경 속으로 폐허가 된 오래된 교회들이 보인다.'며 이 곡을 묘사했습니다. 친구 갠스바허의 조언에 따라 원작에 사용하려고 했던 피날레 아다지오 악장 대신에 푸가 성격의 악장으로 변경되었고, 탈락된 아다지오는 이십년 후 2번에 사용되었습니다.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254위
1. 총 연주시간 : 28분 (1) 1악장[15분]: 알레그로 논 트로포 (빠르지만 지나치지 않게) (2) 2악장[6분]: 알레그레토 콰시 메누에토 (조금 빠르고 거의 미뉴엣으로) (3) 3악장[7분]: 알레그로 (빠르게)
오늘의 하루한클은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독일, 1833.5.7 ~ 1897.4.3)가 1868년 작곡한 '자장가(Wiegenlied [독], Lullaby[영])'입니다. 슈베르트, 모차르트의 자장가와 더불어 가장 널리 사랑받는 자장가입니다. 왈츠를 좋아하는 그의 친척 파버 부인이 차남을 낳았다는 소식을 듣고 축하의 편지와 함께 이 곡을 써서 보냈다고 합니다. 가사는 독일에서 예전부터 전해 오는 것이라고 합니다. 브람스는 평생 독신으로 살았지만 늘 호주머니에 사탕을 넣고 다닐 정도로 아이들을 좋아했다고 합니다. 그의 따뜻하고 순수한 심성을 보여주는 명곡이라고 하겠습니다.
오늘의 하루한클은 빈첸초 살바토레 카르멜로 벨리니(Vincenzo Salvatore Carmelo Francesco Bellini, 이탈리아, 1801.11.3 ~ 1835.9.23)가 1831년 완성한 오페라 '노르마(Norma) 중 정결한 여신'입니다. 프랑스의 시니 알렉상드라수메의 희곡 '노르마, 혹은 영아 살해'의 내용을 기반으로 이탈리아의 철학자이며 시인이었던 로마니가 대본을 썼습니다. 벨칸토 창법의 본보기가 되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악장에서 소프라노가 부르는 기도문인 '정결한 여신(Casta Diva)'으로 말미암아 유명해진 오페라입니다. 오페라는 거의 공연되지 않습니다. 벨칸토 오페라는 스토리는 별로 따지지 않고 아름다운 노래만 강조하는 그저 노래만의 나열이 많아서 시대에 뒤쳐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만 마리아 칼라스가 노르마를 진가를 재발견하고 세상으로 다시 끄집어냈다고 합니다. 이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소프라노는 그 외에 조안 서덜랜드와 에디타 그루베로바 정도 입니다. 노르마 역은 소프라노 중에서도 아주 어려운 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아리아는 로마를 공격하려고 흥분한 사람들을 진정시키고 신성한 의식을 진행하는 사제 노르마가 로마는 곧 자멸할 것이라고 말하지만 속으로는 사랑하는 로마 총독을 생각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는 노래입니다.
오늘의 하루한클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오스트리아, 1756.1.27 ~ 1791.12.5)가 1780년(24세) 작곡한 '교향곡 34번'입니다. 2년전 어머니를 잃고 연애에도 실패한 모차르트였으나 이 곡에서 우울한 글미자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 교향곡에는 미뉴에트가 없는데 38번 교향곡과 함께 만하임 형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탈리아 서곡 형식의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프리랜서로서의 자유를 획득한 모차르트의 축제를 나타내는 듯 1악장은 팡파르풍의 도입부에 이어 현악이 기쁨과 설렘이 가득한 선율로 연주합니다. 이 팡파르의 오프닝은 모차르트의 상징과도 같이 특징지어 졌습니다.
# 모차르트의 작품번호 K. : 모차르트를 연구했던 쾨헬일아는 사람이 만든 번호로 쾨헬번호라고 읽음.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254위
1. 총 연주시간 : 25분 (1) 1악장[8분]: 알레그로 비바체 (매우 빠르고 생기있게) (2) 2악장[9분]: 안단테 디 몰토 (매우 느리게) (3) 3악장[8분]: 알레그로 비바체 (매우 빠르고 생기있게)
오늘의 하루한클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오스트리아, 1756.1.27 ~ 1791.12.5)이 1778년(22세) 완성한 '교향곡 31번 파리'입니다. 파리에서 쓴 유일한 교향곡이라 후에 '파리' 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교향곡은 두번쨰 파리 여행 중 장 르 그로의 의뢰로 작곡된 것으로, 관악기의 협주적 효과가 뛰어났던만하임 악파의 영향으로 교향곡에 클라리넷을 처음 사용했다고 하며, 프랑스 청중의 취향을 반영하고 있으면서도 만하임 악파의 양식을 융합하였다는 평입니다.
# 모차르트 작품번호 K. : 루드비히 폰 쾨헬이 주제별로 분류하여 K.번호를 붙임. 총 626곡임.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254위
오늘의 하루한클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독일, 1770.12.17 ~ 1827.3.26)이 1812년 완성한 '교향곡 8번'입니다. 이 교향곡의 별명이 'F장조 소교향곡'인데 9게의 교향곡 중 가장 짧고 내용은 환희와 유머가 가득차 있으며 기쁨의 정취가 넘쳐 있다고 평합니다. 이 무렵 멜쪨에 의해 메트로놈이 발명되어서 베토벤은 이것을 사용해서 2악장을 썼다는 설도 있습니다. 2악장의 주제가 리듬을 새긴 듯한 음의 진행이 독특한 것이 메트로놈에서 착안했다는 것입니다. 또한 4악장은 베토벤의 곡 중 가장 유머가 넘치는 곡이라는 평입니다. 인기가 있었던 7번에 이어 8번은 대중들에게는 덜 인기가 있었지만 베토벤은 정작 8번을 더 낫다고 여겼다고 합니다. 이 교향곡 속에 숨어 있는 어마어마한 혁명을 발견해낼 수 있는 음악 애호가라면 7번보다 8번을 더 좋아하게 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254위
1. 총 연주시간 : 26분 (1) 1악장[9분]: 알레그로 비바체 에 콘 브리오 (더 빠르고 생기있게) (2) 2악장[4분]: 스케르찬도. 알레그레토 (해학적으로 조금 빠르게) (3) 3악장[6분]: 템포 디 메누에토 (미뉴엣 템포로) (4) 4악장[7분]: 알레그로 비바체 (빠르고 생기있게)
오늘의 하루한클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독일, 1770.12.17 ~ 1827.3.26)이 1806년 작곡한 '현악 4중주 7번 라주모프스키'입니다. 작품 59의 1, 2, 3번을 통칭 러시아 4중주곡이라고 부릅니다. 이 곡은 빈 주재 러시아 대사였던 음악애호가 라주모프스키 백작에게 헌정되었습니다. 백작은 새로 건축한 궁전의 완공을 앞두고 베토벤에게 화려하고 고풍스러운 새 궁전과 잘 어울리는 현악 4중주를 의뢰했습니다. 완성된 악보는 사람들을 놀라게 했는데, 지나치게 길고 복잡하고 분위기도 무거웠기 때문이었지만 베토벤은 자신의 작품에 확신이 있었으니 이곡 을 포함한 세곡의 4중주는 베토벤의 독자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입니다. 이 곡을 작곡하던 중 악보 한 쪽에 적어 놓기를 '더 이상 귀먹음을 비밀로 하지 말라. 나의 예술에서도 역시...' 자신의 치부를 받아들이고 사람들 앞에서 당당해지기 원했던 베토벤이 내면의 귀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것입니다.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254위
1. 총 연주 : 37분
(1) 1악장[10분]: 알레그로 (빠르게)
(2) 2악장[8분]: 알레그레토 비바체 에 셈프레 스케르찬도 (조금 빠르고 경쾌하게 그리고 항상 명랑하게)
오늘의 하루한클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독일, 1770.12.17 ~ 1827.3.26)이 1826년 완성한 '현악 4중주 13번'입니다. 5악장 카바티나가 유명합니다. 베토벤이 이 곡을 작곡하면서 눈물을 흘렸다고 하고 또 그처럼 감동적인 곡을 쓴 적이 없다고 고백했다고 합니다. 끝악장은 처음에 커다란 푸가의 형식을 취하고 있었으나 출판업자와의 피할 수 없는 마찰로 인하여 좀 더 가벼운 악장으로 다시 쓰여졌고, 끝악장 대푸가(Op.133)는 따로 출판하였습니다. 그래서 현악 4중주 13번과 대푸가가 함께 들어 있는 CD가 많습니다. 간혹 6악장을 베토벤의 첫 의도대로 대푸가로 연주하는 경우도 있으며 근래에는 아예 베토벤 최초의 작곡 의도대로 대푸가를 작품130의 제6악장으로 환원시키고 죽기 전에 다시 작곡했던 마지막 악장을 제7악장으로 삼아 전곡 연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린제이QT, 스메타나 QT). 재미있는 것은 1977년 발사된 보이저 2호에는 금으로 코팅된 동판 레코드가 넣어져 함께 발사되었는데 그 안에 5악장 카바티나(부다페스트QT)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카바티나 : 18~19세기의 오페라나 오라토리오에서 볼 수 있는 기악반주가 따른 서정적인 독창곡으로 2절이나 곡의 반복이 없는 단순한 성격의 짧은 노래. 스탠리 마이어스가 작곡한 디어 헌터의 OST.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254위
1. 총 연주시간 : (1) 1악장[10분]: 아다지오 마 논 트로포-알레그로 (느리지만 지나치친 않게-빠르게) (2) 2악장[2분]: 프레스토 (아주 빠르게) (3) 3악장[7분]: 안단테 콘 모토 (안단테 보다 조금 빠르게 활기있게) (4) 4악장[3분]: 알레그로 아싸이-알라 단차 테데스카 (매우 빠르게-독일 무곡풍으로)
(5) 5악장[7분]: 카바티나. 아다지오 몰토 에스프레시보 (매우 느리게 풍부한 감정으로)
오늘의 하루한클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독일, 1770.12.17 ~ 1827.3.26)이 1795년 완성한 '피아노 협주곡 1번입니다. 사실 2번 협주곡이 먼저 출판되었기 때문에 연도순으로는 이 곡이 2번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출판되지 않은 내림마장조 협주곡을 14세 때 자곡한 것까지 감안하면 세번째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1801년 출판 당시 '대협주곡'이란 이름으로 출판되었는데, 규모가 크고 편성도 교향악적이라할 만한 규모를 자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출판 후 여러번의 수정을 거쳤는데 작곡가 자신도 이 작품은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았음을 고백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