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2SK의 라이프
블로그 이미지
P2SKLife
앱개발에 대한 정보와 취미인 음악감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250x250
반응형
2021. 6. 6. 22:51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독일, 1770.12.17 ~ 1827.3.26)이 1817년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 29번 '함머클라비어'입니다. 이 부제가 붙은 이유와 부제의 어원은 함머클라비어 피아노에서 따온 것이며, 피아노의 역사는 함머클라비어를 기점으로 기존 에라르 피아노에 비해 또한번 음역을 크게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는데, 베토벤은 단순히 이 피아노로 연주한 자신의 모든 소나타에 피아노의 종류를 부제로 붙인 것입니다. 28번에도 같은 부제가 붙어 있으나 함머클라비어하면 29번 이 작품을 가리킵니다. 베토벤의 피아노 작품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며 음악적으로나 연주 기법적으로나 피아노곡 분야의 최정점에 위치하는 명작입니다. 현재까지도 메이저 작곡가의 피아노곡 가운데 명실상부한 최고의 난이도를 가진 작품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29번 소나타에서는 피아노가 단순한 선율 악기의 수준을 완전히 벗어나서 오케스트라와도 대등한 수준의 궁극의 독주악기로 거듭나게 되었다고 평가합니다. 하지만 의외로 대중적인 인기는 낮은 편인데, 음악이 너무 어렵기 때문입니다. 펠릭스 바인가르트너가 관현악으로 편곡한 버전이 있습니다. 3악장에 대하여 빌헬름 켐프가 “베토벤이 작곡한 가장 장대한 모놀로그”라고 칭송했고 언드라스 쉬프 또한 “서양 음악사의 정점”이라고 표현한 바 있습니다.

# 독일어 ’함머클라비어(Hammerklavier)‘, 이탈리아어 ’피아노포르테(Pianoforte)‘, 영어 ’피아노(Piano)’ 는 모두 같은 말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199위

1. 총 연주시간 : 40~50분
 (1) 1악장[10~13분]: 알레그로 (빠르게)
 (2) 2악장[3분]: 스케르초. 아싸이 비바체 (더욱 생기있게)
 (3) 3악장[15~20분]: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느리게, 격조 넘치게)
 (4) 4악장[11~15분]: 서주와 푸가. 알레그로 리솔루토 (빠르고 결연하게)

2. 해설
 (1) 나무위키
 (2) 네이버의 명곡 명연주
 (3) 행운유수님의 해설

3. 추천 음반
 (1) 피아노:빌헬름 켐프

     Wilhelm Kempff, 1964
1악장(8:52)   2악장(2:44) 
3악장(16:31) 4악장(12:07)

 (2) 피아노:빌헬름 박하우스

      Wilhelm Backhaus,1953(mono)
1악장(11:45) 2악장(2:38) 
3악장(16:31) 4악장(11:01)

 (3) 피아노:에밀 길렐스

     Emil Gilels, 1983
1악장(12:31) 2악장(2:53) 
3악장(19:51) 4악장(13:38)


4. 추천 영상
 (1) 블라디미르 아시케나지
 (2) 루돌프 부흐빈더
 (3) 손열음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6. 6. 21:09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독일, 1770.12.17 ~ 1827.3.26)이 1804년(34세)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 21번 발트슈타인'입니다. '발트슈타인'이라는 별명은 자신의 소년 시절(Bonn 시절)의 지인이자 후원자였던 페르디난트 폰 발트슈타인 백작에게 이 작품을 헌정한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L'Aurore(여명)’이라고 부릅니다. 한편 이 발트슈타인 소나타는 원래 2악장이 따로 있었는데 당시 지인들과 출판업자는 곡이 너무 길고 2악장이 다른 두 악장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의견을 내놓자 베토벤은 이런 의견을 받아들여서 2악장을 빼고 대신 2악장이 된 3악장 앞에 짧은 서주를 붙여서 2악장 체제로 곡을 개편했고 제외된 2악장은 안단테 파보리(Andante Favori, WoO 57)라는 제목을 가진 소곡으로 따로 출판되었습니다. 시련을 딛고 일어선 베토벤의 새로운 각오와 피아노라는 악기의 기술적인 발전이 맞물려서 이룩된 역사적인 작품으로 베토벤 당시 기준으로 전례 없는 현란한 기교와 화려한 음향, 파격적인 규모와 구성을 자랑했던 이 작품은 당대 사람들에게 '피아노로 이런 음악도 가능하다'는 일종의 예시를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 리즈(Leeds) 국제 피아노콩쿠르 우승자인 피아니스트 김선욱은 발트슈타인 소나타를 최애로 꼽았고 거의 중독수준이라고 밝힌 바 있다.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199위

1. 총 연주시간 : 24분
 (1) 1악장[11분]: 알레그로 콘 브리오 (씩씩하고 빠르게)
 (2) 2악장[3분]: 도입부. 아다지오 몰토 (아주 느리게)
 (3) 3악장[10분]: 론도. 알레그레토 모데라토 (중간쯤의 빠르기로)

# 론도 : 주제(A)가 삽입부(B)를 중간에 두고 반복하여 나타나는(B-A-B-A-B) 형식

 

2. 해설
 (1) 나무위키
 (2) 네이버의 명곡 명연주
 (3) 행운유수님의 해설

3. 추천 음반
 (1) 피아노:빌헬름 켐프

     Wilhelm Kempff, 1965

1악장(10:55) 2악장(3:05) 3악장(9:46)

 (2) 피아노:에밀 길렐스

     Emil Gilels, 1972
1악장(11:04) 2악장(4:38) 3악장(9:19)

 (3) 피아노:마우리치오 폴리니

     Maurizio Pollini, 1989
1악장(9:58) 2악장(4:17) 3악장(8:58) 


4. 추천 영상
 (1) 다니엘 바렌보임
 (2) 클라우디오 아라우
 (3) 김선욱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6. 6. 20:29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독일, 1770.12.17 ~ 1827.3.26)이 1818~1823년 완성한 '장엄 미사'입니다. 이 곡은 종교음악에서 손꼽히는 명작이며 베토벤의 작품 중 규모가 가장 크고 복잡한 곡입니다. 베토벤은 장엄미사곡을 자신의 작품 중 최고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장엄 미사는 고유명사가 아니며 같은 제목으로 작곡된 미사곡이 많음에도 '장엄미사'하면 이 곡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연주자에게는 극악의 난이도를 선사하는 난곡으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당시 가톨릭 교회들에서는 오직 라틴어로만 미사를 봉헌하고 있었기 때문에, 독어판을 만들었다는 것은 곧 성직자와 평신도들의 모국어로 예배를 집전하는 개신교 종단에도 이 곡의 사용을 허락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런 일화는 전례에 얽매이지 않는 베토벤의 신앙관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 베토벤의 초상화로 자주 보는 빨간 머플러를 메고 손에 악보를 든 것이 있는데 왼손에 든 악보가 장엄미사임.

# 장엄미사(미사 솔렘니스) : 사제 외에 조제(助祭)와 부조제에 의해 행해지는 성대한 미사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199위

 

1. 해설
 (1) 나무위키
 (2) 네이버의 최신 명곡 해설
 (3) 행운유수님의 해설

2. 추천 음반
 (1) 지휘:존 엘리어트 가디너

     John Eliot Gardiner

    잉글리쉬 바로크 솔로이스츠,1989

 1곡 : 자비송(Kyrie) (8:51)

 2곡 : 대영광송(Gloria) (16:25)

 3곡 : 신앙고백(Credo) (17:28)

 4곡 : 거룩하시도다(Sanctus) (15:16)

 5곡 : 하나님의 어린양(Agnus Dei) (11:55)

 (2) 지휘:오토 클렘페러

     Otto Klemperer

     뉴 필하모니아, 1966

 1곡 & 2곡 (28:05)

 3곡 (21:01)

 4곡 & 5곡 (31:24)

 (3) 지휘: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Herbert von Karajan

     베를린 필하모니커, 1975

     (전곡)


3. 추천 영상
 (1) 존 엘리어트 가디너, NDRSO

 (2) 카라얀, 베를린 필하모니커, 1979
 (3) 레너드 번스타인, 로열 콘서트헤보 오케스트라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6. 6. 19:01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독일, 1685.3.21 ~ 1750.7.28)이 작곡한 '라르고(아리오소)'입니다. 지금은 유실된 바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g단조'을 쳄발로 연주용으로 편곡한 곡이 하프시코드 협주곡 5번(BWV.1056)인데, 2악장은 빠르기 말이 '라르고'인데 이 빠르기 말이 곡의 이름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유명한 2악장은 바흐의 칸타타 <한쪽 발은 무덤을 딛고 나는 섰노라, BWV.156>가운데 '신포니아(아리오소)'를 편곡한 것이기 때문에 '아리오소'라고도 불립니다. 그 아름다운 멜로디가 서정적인 정서를 잘 노래하고 있어 널리 알려져 있으며 힐링의 음악으로 많이 소개되는 곡입니다. 텔레만은 2악장 라르고를 자신의 플루트(오보에) 협주곡 (TWV.51:G2)의 1악장으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 바흐의 작품번호 BWV : # 바흐의 작품번호 BWV. : 독일의 음악학자 볼프강 슈미더가 정리한 바흐 작품목록. 총1120개. 바흐 베르케 페어차이히니스(Bach Werke Verzeichnis)의 약자.

# 칸타타 : 작은 규모의 오라토리오로, 독창과 합창으로 이루어짐.

# 신포니아 : 합창이 시작되기 전 서곡

# 아리오소 : 아리아 풍의 기악곡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199위

1. 해설 : 필유린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하프시코드:트레버 피노크

      Trevor Pinnock

     잉글리쉬 콘서트, 1981

 1악장(3:08) 2악장(2:49) 3악장(3:31)

 (2) 하프시코드:칼 리히터

     Karl Richter

     뮌헨 바흐 오케스트라, 1973

 1악장(3:37) 2악장(1:59) 3악장(4:16)


 (3) 피아노 & 지휘:다비드 프라이

     David Fray

     도이치 캄머필

 1악장(3:34) 2악장(3:11) 3악장(3:23)

3. 추천 영상
 (1) 피아노 : 마리아 조앙 피레스(2악장) 
 (2) 피아노 솔로 : 빌헬름 켐프(2악장)
 (3) 플루트 : 장 피에르 랑팔(전악장)

 (4) 첼로 : 미샤 마이스키(2악장)

 (5) 네덜란드 바흐 쏘사이어티(전악장)

 (6) 바이올린 : 이츠하크 펄먼

    1악장(3:38) 2악장(4:15) 3악장(3:18)

 (7) 기타 : 퍼 올로브 킨드그렌

 (8) 트럼펫 : 티모시 모크

 (9) 바로크 오보에 : 마크 샤흐만

 (10) 관현악 편곡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11) 트롬본 : 피터 엘레프손

 

4. 관련 엔터테인먼트 정보

 - 영화 : 툼레이더(2001)잠옷 바람으로 운동하는 장면 BGM

 - 영화 : 봉이 김선달(2016)국밥에 설사약 타는 장면 BGM (2:09~)

         사기꾼 김인홍이 규영에게 만나달라는 서신을 보내는 장면  BGM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6. 5. 19:50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독일, 1685.3.21 ~ 1750.7.28)가 작곡한 '시칠리아노'입니다. 이 곡은 원래 플루트와 하프시코드(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의 2번(BWV.1031)의 2악장인데 피아니스트 빌헬름 켐프가 피아노 연주용으로 편곡한 곡으로 듣는 이의 마음을 따듯하게 해주는 곡입니다. 다만 이 곡이 바흐의 곡은 아니라는 최근 연구가 있다고 합니다. 바흐 작품 중 '시칠리아나'라는 악장이 있는데 바이올린 소나타 1번(BWV.1001) 3악장 입니다.

# 시칠리아노 : 17∼18세기경 이탈리아의 시칠리아섬에서 생겨난 무곡. 목가적이거나 우울한 분위기를 불러 일으킴.

# 바흐의 작품번호 BWV. : 독일의 음악학자 볼프강 슈미더가 정리한 바흐 작품목록. 총1120개.

                      바흐 베르케 페어차이히니스(Bach Werke Verzeichnis)의 약자.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199위

1. 필유린님의 블로그 해설


2. 추천 음반
 (1) 피아노:타티아나 니콜라예바(5:19)

     Tatiana Nikolayeva

 (2) 피아노:빌헬름 켐프(3:39)

      Wilhelm Kempff, 1976

 (3) (플루트 소나타 BWV.1031)

     플루트:엠마누엘 파후드

     Emmanuel Pahud

     하프시코드:트레버 피노크

     Trevor Pinnock, 2008

 1악장(3:42) 2악장(2:15) 3악장(4:41)


3. 추천 영상
 (1) 피아노 : 임동혁(2003)
 (2) 플루트 : 최나경
 (3) 플루트 : 이설

 (4) 트럼펫 : 크리스티안 스틴스트럽(영화 : 파도를 가르며)

 (5) 기타 : 에드슨 로페스

 (6) 바이올린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6. 5. 18:20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독일, 1685.3.21 ~ 1750.7.28) 1748년부터 작곡한 '푸가의 기법'입니다. 이 곡을 통하여 바흐는 푸가 기법의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였지만 이러한 바흐의 역작은 미완성으로 남게되는데 그 이유는 그의 시력악화였습니다. 이 곡은 늦게서야 빛을 본 작품인데 작곡 후 180년을 경과한 1927년에 라이프치히에서 처음으로 연주되었다고 합니다. 총 14개의 푸가와 4개의 캐논으로 구성되어있는데 마지막 푸가는 미완인 채로 남겨졌다고 합니다. 바흐는 자필원고에 푸가의 기법을 어떤악기로 연주하라는 지시를 적지 않았는데 많은 전문가들이 클라비어를 위한 곡이라고 주장합니다.

# 바흐의 작품번호 BWV. : 독일의 음악학자 볼프강 슈미더가 정리한 바흐 작품목록. 총1120개.

                      바흐 베르케 페어차이히니스(Bach Werke Verzeichnis)의 약자.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199위

1. 해설
 (1) 나무위키
 (2) 네이버의 두산백과

2. 추천 음반
 (1) 오르간:헬무트 발햐

      Helmut Walcha, 1960

 (2) 피아노:타티아나 니콜라예바

     Tatiana Nikolayeva, 1993

 (3) 에머슨 4중주단(1:20:00)

     Emerson String Quartet, 2003

 (4) 지휘:네빌 매리너(1:20:21)

     Neville Marriner

    성 마틴 인더필즈 아카데미, 1975

 (5) 리코더 사중주 : 퀸타 에쎈시아(1:21:43), 2017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6. 5. 17:22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독일, 1685.3.21 ~ 1750.7.28)가 1709년경 작곡한 오르간 독주곡 '토카타와 푸가'입니다. 화려한 기교와 풍성한 감정 등이 잘 어우러진 작품으로 음악사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오르간곡이다.  흔히 알려진 부분은 토카타의 시작 부분이고, 토카타가 끝나고 푸가가 나와서 '토카타와 푸가'입니다. 페루초 부조니에  의한 피아노 편곡판이 있으며,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가 편곡한 오케스트라 편곡판은 오르간 오리지널 곡보다 오히려 더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대중적으로는 흑백영화 드라큘라(1931)에 사용되면서 널리 알려졌습니다. 악역이 혼자서 파이프오르간을 멋들어지게 연주하고 있는 웅장한 장면에서 이 곡이 흘러나오면 영화 드라큘라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코메디 프로 같은 데서 멘붕의 상태나 상황 전환이 필요할 때 브금(BGM)으로 자주 사용되곤 합니다.

 

# 바흐의 작품번호 BWV. : 독일의 음악학자 볼프강 슈미더가 정리한 바흐 작품목록. 총1120개.

                      바흐 베르케 페어차이히니스(Bach Werke Verzeichnis)의 약자.

# 194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시인, 소설가인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1877~1962)‘ 는 ’바흐의 토카타에 붙여(Zu einer Toccata von Bach)' 라는 시를 썼는데, 이 찬사가 모든 것을 웅변해 준다.

‘태고의 침묵... 온통 주위가 캄캄한데, 구름 사이로 한 줄기 빛이 나온다. 눈먼 미물을 심연에서 건져 올려 공간을 만들어 주고, 눈부신 빛으로 밤을 물리친다.’

# 토카타 : 급속한 분산화음과 음계적 패시지(passage)를 주체로 하는 기교적 ·즉흥적인 건반음악의 형식. 18세기의 토카타는 푸가 앞에 놓여 ‘토카타와 푸가’라는 형식을 취하였다.

# 푸가 : 앞의 곡 연주 형식을 모방하여 들려주는 부분.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199위

1. 해설
 (1) 나무위키
 (2) 네이버의 두산백과
 (3) 행운유수님의 해설

2. 추천 음반
 (1) 오르간:칼 리히터(8:52)

     Karl Richter, 1965

 (2) 지휘: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10:17)

     Leopold Stokowski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1973

 (3) 피아노:타티아나 니콜라예바(9:29)

      Tatiana Nikolayeva, 1982


3. 추천 영상 & 편곡
 (1) 오르간 : 칼 리히터 
 (2) 오르간 : 한스-안드레 스탐
 (3) 오르간 : 알베르트 슈바이처 

 (4) 스토코프스키, 체코 필하모닉(1972)

 (4) 앤드류 린턴, 로얄 필하모닉, 2010

 (5) 전자 바이올린 : 바네사 메이

 (6) 블롭 오페라(B-Roll)(아카펠라)

 (7) 하프 : 아미 터크

 (8) 플루트 : 헬레나 슐테스

 (9) 아코디언 : 캠벨 베트리지

 (10) 기타 : 빅토르 일리치

 (11) 바이올린 : 세르게이 크릴로프

 (12) 칼림바 : 에바 오너

 

4. 관련 엔터테인먼트 정보

 - 영화 : 오케스트라의 소녀(One Hundred Men And A Girl)(1937)

   스토코프스키 직접 출연하여 유명세를 탔다.(1:10:05~)

 - 영화 : 드라큘라(1931) OST

 - 애니 : 판타지아(1940)인트로

 - SKY : 토카타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6. 4. 23:31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독일, 1685.3.21 ~ 1750.7.28)가 1725년 작곡한 '미뉴에트 G장조'입니다. 이 미뉴엣은 바흐가 두번째 아내인 안나 막달레나를 위해 완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두 개의 음악 모음집 中 2권에 있는 곡입니다. 그런데, 미국의 재즈 가수 '사라 본'이 부른 〈A Lover's Concerto〉의 원곡으로 유명한 〈미뉴엣 G 장조〉와 같은 경우 실제 작곡가가 독일의 작곡가 펫졸트(Petzold)로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이 곡은 전도연과 한석규가 나오는 영화 <접속>에 사용되어 널리 유명해졌습니다.

 

# 바흐 작품번호 :  작품번호 BWV뒤에 Anh.(Anhang)가 붙어있는데, 독일어 "Anhang"은 영어의 "Appendix" 즉, 부록의 의미. BWV Anh.은 그럴듯하게 바흐의 것으로 여겨지는 작품, 미심쩍은 작품, 단편, 분실된 작품 및 재구성된 작품등을 모아 부록 개념으로 분류한 것.
* Anhang I => BWV Anh. 1-23 : 단편 및 분실된 작품들
* Anhang II => BWV Anh. 24-155 : 미심쩍은 작품들
* Anhang III => BWV Anh.156~189 : 바흐의 것으로 잘못 여겨진 작품들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199위

 

<A Lover's Concerto의 가사내용입니다.>

How gentle is the rain

얼마나 온화한 비인가요
That falls softly on the meadow

목초지에 부드럽게 떨어지는
birds high above the trees

나무에 높이 오른 새들은
Serenade the flowers with their melodies

그들의 멜로디로 꽃들에게 세레나데를 불러요

oh See there beyond the hill

저 언덕 너머에 있어요
The bright colors of the rainbow

무지개의 밝은 색깔들이
some magic from above

위에서부터 어떤 마법이
made this day for us just to fall in love
우리가 사랑에 빠지게 하기 위해 오늘을 만들었어요


Now I belong to you

이제 난 당신의 것이에요
from this day until forever

오늘부터 영원히
Just love me tenderly

부드럽게 사랑해 주세요
and I'll give to you every part of me

내 모든 걸 당신에게 드릴게요

oh Don' ever make me cry

날 울게하지 마세요
Through long lonely nights without love
우리가 없는 길고 외로운 밤에
Be always true to me

항상 내게 진실하고
keep it stay in your heart eternally

오늘을 영원히 마음에 간직해주세요

Someday we shall return

언젠가 우리는 돌아올거에요
to this place upon the meadow

초원이 있는 이곳으로

We'll walk out un the rain

우리는 빗속을 거닐 거에요

Hear the birds above singing once again

새들이 다시 노래하는 것을 들으며

 

You'll hold me in your arms

당신은 날 품에 안고

And say once again in you love me

다시 한번 나에게 사랑한다고 말하겠죠

and, if your love is true

만약 당신의 사랑이 진실이라면

Everything will be just as wonderful

모든 것이 너무 멋질 거에요.

1. 해설
 (1) 위키백과
 (2) 네이버의 두산백과

2. 추천 음반
 (1) 하프시코드:구스타프 레온하르트(1:48)

     Gustav Leonhardt,1989

 (2) 하프시코드:저스틴 테일러(1:26)

     Justin Taylor, 2018

 (3) 피아노:로베르토 프로쎄다(1:32)

     Roberto Prosseda, 2008

3. 추천 영상 & 편곡
 (1) 피아노 : 츠비 에레츠

 (2) 하프시코드 : 톤 쿠프만

 (3) 전자기타 : 윌리 넬슨

 (4) 유진 오먼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1969

 (5) 바이올린 : 공영미

 

4. 관련 엔터테인먼트 정보

 - 영화 : 접속(1997) 中 OST(한영가사)

 - 사라 본 : A lover's concerto

 - 조수미 : A Lover's Concerto

 - 박혜경 : A Lover's Concerto

 - 임형주 : Lover's Concerto

 - 더 토이즈 : A Lovers Concerto

 - 진혜림(켈리 첸) : A Lovers Concerto

 - 드라마 : 별에서 온 그대(2013) OST Tears in Minuet(변주곡)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6. 3. 21:43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새뮤얼 오즈본 바버 2세(Samuel Osborne Barber II, 미국, 1910.3.9 ~ 1981.1.23)가 1937년 작곡한 입니다. 바버는 작곡가로 알려지기 전 그 자신도 재능 있는 성악가로 인정받았습니다. 그래서인지 그의 작품에는 항상 가창적 요소가 담겨 있었고 현을 위한 아다지오 또한 예외는 아닙니다. 현을 위한 아다지오의 선율에 성가의 가사를 붙여서 '아뉴스 데이'를 작곡한 것입니다. 본래 그가 1936년에 쓴 현악 4중주의 느린 2악장으로 쓰려고 만든 것이었으나 바버는 곧 이 곡의 놀라운 잠재성을 발견하였고, 친구에게 이를 가리켜 ‘히트 상품’이라고 말했는데 그것이 정말 현실이 되었습니다. 알베르트 아인스타인과 존 F. 케네디, 그레이스 켈리의 장례식 등 여러 유명인들의 애도식에서도 연주되었다고 합니다. 이곡은 또한 올리버 스톤 감독의 영화 '플래툰(1986)'에 삽입되어 널리 알려진 곡이기도 합니다. 아다지오로 유명한 알비노니의 곡과 함께 슬픈 음악의 대명사로 꼽히는 곡입니다.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199위

1. 해설
 (1) 죽기전에 꼭 들어야할 클래식 1001
 (2) 황영윤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지휘:사이먼 래틀(8:57)

     Simon Rattle, 베를린 필하모니커

 (2) 지휘:제프리 사이먼(8:12)

     Geoffrey Simon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3) 지휘:세르주 첼리비다케(9:33)

     Sergiù Celibidache, 뮌헨 필하모니커

3. 추천 영상 & 편곡
 (1) 구스타보 두다멜, 빈 필ㅎㅏ모니커
 (2) 편곡) 첼로 : 하우저
 (3) 편곡) DJ 티에스토

 (4) 편곡) 저먼 브라스

 (5) 오르간 : 새뮤얼 메츠거

 

4. 관련 엔터테인먼트 정보

 - 영화 : 플래툰(1986)OST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6. 3. 21:04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벨라 바르토크(Béla Bartók, 헝가리, 1881.3.25 ~ 1945.9.26)이 1938년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 2번'입니다. 이 작품은 음악적 면에서나 기교의 난이도면에서나 연주자에게 대가적 역량을 요구하는 결코 무난하지 않은 곡으로 다른 모든 걸작들이 그렇듯 이 곡은 작곡가의 놀라운 작곡 역량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바르토크 생존 시에는 그냥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불리다가 30년이나 일찍(1907~1908) 만들어졌으면서도 사후 10년도 더 넘게 지나(1956) 출판된 또 다른 바이올린 협주곡(No. 1, Op. posth)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2번이란 번호가 부여되었습니다. 예후디 메뉴인은 바르토크 앞에서 직접 이 곡을 연주하는 영광을 누렸을 뿐 아니라 적어도 여섯 번 정도 녹음하였는데, 이 음반들 중 1950년대 중반 안탈 도라티가 이끄는 미네아폴리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한 음반에서 메뉴인은 불꽃 튀는 듯한 기교를 선보일 뿐만 아니라 이 곡의 본질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것으로 평가됩니다.

 

# 바르토크의 작품번호 : 안드라스 죌뢰지(András Szőllősy , Sz.), 라즐로 솜파이(László Somfai , BB.) , 데니츠 딜(Denijs Dille, DD.) 세 사람에 의해 정리되었으며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sz.와 BB.를 함께 사용하는데, 죌뢰지나 솜파이는 바르톡의 발표되지 않은 초기작품이나 습작에 대해서는 따로 분류를 하지 않은 관계로 그의 초기 작품은 DD. 번호를 사용하여 분류한다.
# KBS FM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 공동 199위

1. 총 연주시간 : 35분
 (1) 1악장[15분]: 알레그로 논 트로포 (빠르지만 지나치지 않게)
 (2) 2악장[9분]: 안단테 트란퀼로 (조용히 느리게)
 (3) 3악장[11분]: 알레그로 몰토 (매우 빠르게)

2. 해설
 (1) 죽기전에 들어야야할 클래식1001
 (2) 취음향님의 해설

3. 추천 음반
 (1) 바이올린:예후디 메뉴인

     Yehudi Menuhin

     지휘:안탈 도라티

     Antal Dorati

     미네아폴리스 심포니, 1958
1악장(15:30) 2악장(9:08) 3악장(11:08)

 (2) 아이올린:아이작 스턴 

      Isaac Stern

     지휘:레너드 번스타인

     Leonard Bernstein

     뉴욕 필하모닉, 1958
1악장(15:20) 2악장(10:04) 3악장(10:56)

 (3) 바이올린 : 정경화 

     지휘:게오르그 솔티

     Georg Solti

     런던 필하모닉, 1977
1악장(16:44) 2악장(9:34) 3악장(12:25) 


4. 추천 영상
 (1) 정경화, 정명훈(1984)
 (2) 레오니다스 카바코스, 사이먼 래틀, 베를린 필하모니커(2005)
 (3) 아우구스틴 하델리히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