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2SK의 라이프
블로그 이미지
P2SKLife
앱개발에 대한 정보와 취미인 음악감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250x250
반응형
2021. 8. 9. 20:09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존 필립 수자(John Philip Sousa, 미국, 1854.11.6 ~ 1932.3.6)가 1889년 작곡한 행진곡 '뇌신 행진곡'입니다. 미국의 '행진곡의 왕'이라고 불리는 수자는 행진곡만 백수십곡을 작곡하였습니다. 이 곡은 미해병대 군악대장으로 복무한지 9년 되던 1889년 발표한 작품입니다. 썬더러는 그리스 신화 가운데 번개를 다루는 제우스 또는 로마 신화에서 하늘과 천둥을 관장하는 신 '유피테르'를 뜻한다고 합니다. 이 곡은  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적십자와 함꼐 위문 공연을 담당하였던 '미 해군 그레이트 레이크 군악대'에 의해 수자의 5대 행진곡으로 선정되어 전세계에 소개되어 널리 유명해졌는데, 특히 1968년부터 1972년 사이에 미국의 ABC방송국이 선거를 다루는 뉴스의 테마음악으로 사용하여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오늘날은 학교의 운동회나 체육행사 등에서 입장할 때 등장하는 음악의 레퍼토리로 친숙한 행진곡입니다.

1. 해설 : 오디너리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지휘:레너드 번스타인(2:37)

     Leonard Bernstein

     뉴욕 필하모니커, 1972

 (2) 지휘:존 필립 수자(2:35)

     수자 밴드

 (3) 지휘:에릭 쿤젤(2:40)

     Erich Kunzel

     신시내티 팝스 오케스트라, 1994

3. 추천 영상
 (1) 미 해병대 밴드(2:59)
 (2) 존 P. 라코냐타, 윌밍톤 심포닉 윈즈(3:08)
 (3) UNC 윈드 앙상블(2:50)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8. 9. 19:38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존 필립 수자(John Philip Sousa, 미국, 1854.11.6 ~ 1932.3.6)가 1896년 작곡한 행진곡 '성조기여 영원하라'입니다. 미국의 '행진곡의 왕'이라고 불리는 수자는 행진곡만 백수십곡을 작곡하였습니다. 스스로 수자 취주악단을 조직하여 미국은 물론 유럽 각지를 연주 여행을 다녔습니다. 이 곡은 그의 행진곡 중 가장 유명한 곡으로 미국 국가 이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첫 유럽 여행 중 배 안에서 향수를 느끼며 썼다는 명작입니다. 수자는 자신의 모든 연주와 콘서트에 이 곡을 지휘하였고 수자에 의한 음원이 2건이 있다고 합니다. 1987년 12월에는 미국 의회에 의해 '공식 국가 행진곡'에 제정됩니다. 미국의 대부분의 콘서트에서는 앙코르 공연으로 이 곡을 관객과 함께 연주하는 퍼블릭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을 정도입니다.  이곡에서 주요 주제는 북부, 피콜로 오블라가토는 남부, 트롬본의 대선율은 서부를 나타냅니다. 미국에 대한 강한 상징성을 보여주는 곡입니다. 나중에는 수자가 직접 가사를 쓴 합창이 추가되었습니다. 1952년 수자의 자서전을 기반으로 하는 곡명과 동명의 영화가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가사내용입니다>

Let martial note in triumph float

전투의 음표가 승리 속에 떠오르고
And liberty extend its mighty hand

자유가 그 힘찬 손을 뻗는다.
A flag appears mid thunderous cheers,

천둥 같은 환호 속에 깃발이 나타나고,
The banner of the Western land.

서부 땅의 배너가 펼쳐진다.
The emblem of the brave and true

용감하고 진실한 이들의 상징,
Its folds protect no tyrant crew;

그의 주름은 폭군의 무리를 보호하지 않는다;
The red and white and starry blue

붉고 하얗고 별이 빛나는 푸른색은
Is freedom's shield and hope.
자유의 방패이자 희망이다.
Other nations may deem their flags the best

다른 나라들은 그들의 깃발이 최고라고 여길지라도
And cheer them with fervid elation

열렬한 환호로 그들을 응원하지만,
But the flag of the North and South and West

북쪽과 남쪽, 서쪽의 깃발은
Is the flag of flags, the flag of Freedom's nation.
깃발 중의 깃발, 자유의 나라의 깃발이다.


Hurrah for the flag of the free!

성조기를 향해 만세를 부르세 
May it wave as our standard forever,

우리들 곁에서 영원히 휘날리기를.
The gem of the land and the sea,

육지와 바다의 보석과 같은
The banner of the right.

자유의 상징이여!
Let despots remember the day

폭군들(남부군)은 이 날을 기억할 것이다
When our fathers with mighty endeavor

우리 조상들의 용감한 노력으로
Proclaimed as they marched to the fray

자유를 외치며 전투를 향해 행진하던 순간을
That by their might and by their right

그들의 용기와 자유에 의해 
It waves forever.

성조기는 영원히 휘날리리라!

Let eagle shriek from lofty peak

독수리가 높은 봉우리에서 울부짖게 하라
The never-ending watchword of our land;

우리 땅의 끝없는 구호를;
Let summer breeze waft through the trees

여름 바람이 나무 사이로 스며들게 하여
The echo of the chorus grand.

웅장한 합창의 메아리를 전하라.
Sing out for liberty and light,

자유와 빛을 위해 노래하라,
Sing out for freedom and the right.

자유와 권리를 위해 노래하라.
Sing out for Union and its might,

연합과 그 힘을 위해 노래하라,
O patriotic sons.
오, 애국적인 아들들여.
Other nations may deem their flags the best

다른 나라들은 그들의 깃발이 최고라고 여길지라도
And cheer them with fervid elation,

열렬한 환호로 그들을 응원하지만,
But the flag of the North and South and West

북쪽과 남쪽, 서쪽의 깃발은
Is the flag of flags, the flag of Freedom's nation.

깃발 중의 깃발, 자유의 나라의 깃발이다.


Hurrah for the flag of the free.

성조기를 향해 만세를 부르세 
May it wave as our standard forever

우리들 곁에서 영원히 휘날리기를.
The gem of the land and the sea,

육지와 바다의 보석과 같은
The banner of the right.

자유의 상징이여!
Let despots remember the day

폭군들(남부군)은 이 날을 기억할 것이다
When our fathers with mighty endeavor

우리 조상들의 용감한 노력으로
Proclaimed as they marched to the fray,

자유를 외치며 전투를 향해 행진하던 순간을
That by their might and by their right

그들의 용기와 자유에 의해 
It waves forever.

성조기는 영원히 휘날리리라!

 

1. 해설 

  (1) 최신 명곡 해설

  (2) 오디너리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지휘:아서 피들러(3:23)

     Arthur Fiedler

     보스턴 팝스 오케스트라, 1958

 (2) 지휘:레너드 번스타인(3:12)

     Leonard Bernstein

     뉴욕 필하모니커, 1971

 (3) 존 필립 수자(3:04)

     수자 밴드


3. 추천 영상
 (1) 레너드 번스타인, 뉴욕 필(3:13)
 (2) 구스타보 두다멜, 빈 필(3:39)
 (3) 미육군밴드 & 합창단(3:17)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8. 9. 18:09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프레데리크 프랑수아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폴란드, 1810.3.1 ~ 1849.10.17)이 1838년(28세) 작곡한 '폴로네즈 3번 군대'입니다. 이 곡은 쇼팽의 조국 폴란드에 대한 사랑과 열정으로 작곡한 곡으로 나팔소리와 큰북소리가 화려한 군대의 행진을 상상케합니다. 폴란드 출신 피아니스트이자 친구였던 줄르 폰타나에게 헌정합니다. 루빈슈타인은 이 작품에 대하여 '폴란드의 황금시대를 회상케 하며 그 나라의 위대함과 몰락의 운명은 이 곡이 있기에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1939년 9월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하며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당시 '라디오 폴란드'는 하루도 거르지 않고 쇼팽의 '군대 폴로네즈'를 방송했다고 합니다. 비록 쇼팽의 생전에 있었던 폴란드 혁명은 좌절되었지만 그의 음악 안에 표현된 폴란드의 민족정신은 결코 사그라지지 않고 남아 수많은 폴란드인들에게 민족의식을 불어넣으며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 폴로네즈 : '폴란드의'라는 뜻을 지닌 폴란드의 대표적인 3박자 민속무곡. 궁중 의식때나 행렬 등의 생사가 있을 때 연주. 18세기 경부터 일반에 널리 사용.

1. 해설 : 필유린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피아노:마우리치오 폴리니(5:27) 1976

     Maurizio Pollini

 (2) 피아노:아르투르 루빈슈타인(4:06) 1964 

     Arthur Rubinstein

 (3) 피아노:라파우 블레하치(5:06) 2013

     Rafał Blechacz


3. 추천 영상
 (1) 아나스타샤 후프만(5:57)
 (2) 트즈비 에레즈(5:31)
 (3) 라파우 블레하치(4:27)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8. 8. 20:26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프레데리크 프랑수아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폴란드, 1810.3.1 ~ 1849.10.17)이 1831년 작곡한 '왈츠 1번 화려한 대왈츠'입니다. 쇼팽은 왈츠를 21곡 작곡했는데 생전에 출판된 것은 겨우 8곡이라고 합니다. 쇼팽의 왈츠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실제의 무용을 이상화한 것이며, 하나는 왈츠의 형식을 빌린 서정시적인 것입니다. 전자의 예로 무도적 특징을 가진 것은 작품 18 '화려한 대왈츠'와 작품 34-1 '화려한 왈츠'가 있고, 후자에 속하는 것으로는 작품64-2와 작품69-1 '이별의 왈츠'가 있습니다. 빈 왈츠보다 훨씬 우아하고 고상한 작품이라는 평인 반면에 무도회에서 실제로 사용되기에는 부적절합니다. 특히 이 화려한 대왈츠 1번은 발레모음곡 '레실피드'에도 등장하는 귀에 익숙한 널리 사랑받는 왈츠곡입니다.  


1. 해설 : 필유린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피아노:클라우디오 아라우(6:08)

     Claudio Arrau

 (2) 피아노:블라디미르 아시케나지(4:52) 1985

     Vladimir Ashkenazy

 (3) 지휘:헤르베르트 폰 카라얀(6:03)

     Herbert von Karajan

     베를린 필하모니커, 1961

3. 추천 영상
 (1) 발렌티나 리시차(5:34)
 (2) 다닐 트리포노프(4:19)
 (3) 헤르만 마카렌코, 키예프 클래식 오케스트라 (6:30)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8. 8. 19:52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프레데리크 프랑수아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폴란드, 1810.3.1 ~ 1849.10.17)이 작곡한 '연습곡 Op.10'입니다. 쇼팽의 연습곡은  Op.10, Op25의 각각 12곡과,  3개의 새로운 연습곡이 있습니다. 연습곡(에튀드[Etude])는 피아노라는 악기가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한 작품입니다. 하지만 쇼팽의 에튀드는 단순한 연습곡을 넘어 예술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별의 곡(Op.10 No.3 : 하루한클126)과 혁명(Op.10 No.12 : 하루한클304)은 하루한클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그외에 Op.10에서 잘 알려진 곡으로는 1번 '폭포', 4번 '추격', 5번 '흑건', Op.25에서는 11번'겨울바람' 등이 있습니다.  흑건은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에서 피아노 배틀곡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1. 해설 : 필유린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피아노:마우리치오 폴리니, 1972

     Maurizio Pollini

  폭포(1:54) 추격(2:00)

  흑건(1:37) 겨울바람(3:31)

 (2) 피아노:클라우디오 아라우, 1957

     Claudio Arrau

  폭포(1:55) 추격(2:16)

  흑건(1:41) 겨울바람(3:36)

 (3) 피아노:손열음, 2004

  폭포(1:57) 추격(2:06)

  흑건(1:42) 겨울바람(3:36)


3. 추천 영상
 (1) 폭포 : 조성진(2:04)
 (2) 추격 : 김지영(2:05)
 (3) 흑건 : 임현정(1:41)

 (4) 겨울바람 : 김소영(3:41)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8. 8. 17:34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Dmitri Shostakovich, 러시아, 1906.9.25 ~ 1975.8.9)가 1959년 작곡한 '첼로 협주곡 1번'입니다. 이 곡은 첼리스트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에게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졌으며 그 중에서도 그가 연주한 프로코피에프의 교향 협주곡의 영향아 컸다고 합니다. 쇼스타코비치의 협주곡은 간결하면서 생동적인 리듬을 담고 있으며, 냉소적인 유머가 그 원동력이라고 합니다. 이 곡은 작곡 제자이자 첼리스트인 로스트로포비치에게 헌정되었고 1959년 11월에 오르먼디가 지휘하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로스트로포비치가 협연하면서 세계에 널리 알려졌습니다.

1. 총 연주시간 : 28분
 (1) 1악장[6분]: 알레그레토 (조금 빠르게)
 (2) 2악장[11분]: 모데라토 (보통 빠르기로)
 (3) 3악장[6분]: 카덴차. 파사칼리아 : 안단테 (파사칼리아풍: 느리게)
 (4) 4악장[5분]: 알레그로 콘 모토 (활기차게 빨리)

2. 해설 : 필유린님의 블로그

3. 추천 음반
 (1) 첼로: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Mstislav Rostropovich

     지휘:유진 오르먼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1960

     Eugene Ormandy
1악장(6:28) 2악장(10:38) 
3악장(5:32) 4악장(4:36)

 (2) 첼로:하인리히 쉬프

     Heinrich Schiff

     지휘: 막심 쇼스타코비치

     Maxim Shostakovic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1985
1악장(5:59) 2악장(11:02) 
3악장(6:05) 4악장(4:28)

 (3) 첼로:린 하렐(Lynn Harrell)

     지휘:베르나르트 하이팅크

     Bernard Haitink

     콘서트헤보우 오케스트라, 1986

1악장(6:31) 2악장(12:00) 
3악장(5:46) 4악장(4:50)


4. 추천 영상
 (1) 첼로: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27:32) 
 (2) 첼로:솔 가베타(29:28)
 (3) 첼로:한재민(28:19)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8. 8. 16:29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페르난도 소르(Fernando Sor, 스페인, 1778.2.14 ~ 1839.7.17)이 1821년 작곡한 '모차르트 마술피리 주제에 의한 변주곡'입니다. 동생에게 헌정된 곡으로 그에게 명성을 안겨다 준 곡이라고 합니다. 이 곡은 클래식기타의 바이블이라고도 칭해지는 곡입니다. 페르난도 소르는 '기타의 베토벤' 혹은 '기타의 모차르트'로 비유될 만큼 그의 작품은 높이 평가를 받는다고 하지만 오늘 이 곡 외에는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곡이 거의 없습니다. 이 곡은 3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도입부, 주제와 변주, 코다.  도입부는 프렐류와 같이 전주적인 성격이 강하며, 두번째 테마는 1막 피날레에 나오는 아리아 'Schnelle füsse, rascher Mut 中 Das klingelt so herrlich!'를 조금 변형시킨 형태로 사용하고 있으며, 5개의 변주가 등장하고, 코다에서는 종결을 알려주는 부분인데 도입부와 코다는 테마와 상관없이 독자적인 형태롤 취합니다. 이곡 역시 곡명은 잘 모르더라도 귀에 아주 익숙한 사랑스러운 멜로디입니다. 세고비아, 나르시소 예페스 등의 앨범과 같이 도입부 없이 연주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1. 해설 :

 (1) 필유린님의 블로그
 (2) 대스데리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기타:안드레스 세고비아(7:10) 1952

     Andrés Segovia

 (2) 기타:페페 로메로(7:37) 1983

     Pepe Romero

 (3) 기타:나르시스 예페스(7:28) 1989

      Narciso Yepes


3. 추천 영상
 (1) 아나 비도비치(9:29)
 (2) 마누엘 바루에코(8:27)
 (3) 에드슨 로페스(7:12)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8. 7. 20:22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에마뉘엘 샤브리에(Emmanuel Chabrier, 프랑스, 1841.1.18 ~ 1894.9.13)가 1883년(42세) 작곡한 '스페인 광시곡'입니다. 당시 샤브리에는 스페인 여행을 다녀왔는데, 그 남국의 눈부신 풍광과 정열적인 사람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현랗나 색채와 발랄한 리듬이 돋보이는 멋진 관현악을 위한 광시곡을 탄생시켰습니다. 샤브리에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데, 뒤카의 마법사의 제자와 함께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독특한 관현악을 대표하는 곡입니다. 현악기의 피차카토로 시작되어 가속되듯이 악기의 숫자가 더해지면서 화려하고도 리드미컬한 관현악의 흥겨운 환상이 수놓아지는 아름다운 작품입니다. 그는 이 곡에서 '호타','말라게니아' 같은 스페인 민속무곡의 리듬을 구사했고, 트라이앵글, 탬버린 같은 악기들을 적극 활용하여 이국적인 정취를 한껏 고취시키고 있습니다.

1. 해설 : 다빈치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지휘:헤르베르트 폰 카라얀(6:04)

     Herbert von Karajan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1961

 (2) 지휘:존 엘리어트 가디너(6:10)

     John Eliot Gardiner

    빈 필하모니커, 1996

 (3) 지휘:아타울포 아르헨타(6:28)

     Ataulfo Argenta

     런던 심포니, 1958


3. 추천 영상
 (1) 레너드 슬래트킨, BBC 심포니(6:25)
 (2) 플라치도 도밍고, 베를린 필하모니커(7:09)

 (3) 2피아노 8핸즈(6:42)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8. 7. 19:48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Marc-Antoine Charpentier, 프랑스, 1643 ? ~ 1704.2.24)가 1692년 작곡한 '테데움 中 전주곡'입니다.  여러 영화, 각종 시상식 등에서 사용되어 제목은 몰라도 들어보시면 귀에 익은 너무나 유명한 음악입니다. 조금은 낯설지만 샤르팡티에는 프랑스 바로크 음악의 대가라고 평가받고 있으며 이탈리아 풍의 음악을 프랑스에 유향시키고 접목시켰으며 많은 종교음악을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테 데움(Te Deum)' 역시 종교음악인데 1692년 스틴케르케 전투에서 프랑스가 승리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작곡했습니다. 샤르팡티에는 500여편의 많은 작품을 남겼다고 하지만 당시에 30곡도 채 출판되지 않았다고 하며, 최근 들어 지휘자 윌리엄 크리스티에 의해 그나마 그의 곡들은 빛을 보게 되었다고 합니다.

 

# 샤르팡티에 : 마르크 앙투안 샤르팡티에(1634~1704) 작곡가, 구스타프 샤르팡티에(1860~1956) 작곡가, 에마뉴엘 샤르팡티에(1968~ ) 대학교수

# 테 데움 : "주님, 우리는 당신을 찬미합니다." 후대에 여러 작곡가들(베를리오즈, 브루크너, 베르디 등)이 많이 작곡함.

# 작품번호 H : W. Hitchcock이 만든 H로 분류.


1. 해설 : 해피써니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지휘:윌리엄 크리스티(1:52),

     William Christie

     레자르 플로리상, 1989

 (2) 트럼펫:모리스 앙드레(2:00) 1983

      Maurice André

 (3) 트럼펫:윈튼 마샬리스(1:48) 

     Wynton Marsalis

    지휘:안소니 뉴먼

     Anthony Newman

    잉글리쉬 체임버, 1996


3. 추천 영상
 (1) 지휘 : 피터 로일라인, Collegium Musicum Liebfrauen(1:51)
 (2) 트럼펫:존 쿨톤(2:45)
 (3) 오르간 : 린든 힐스(2:49)

 

4. 관련 엔터테인먼트 정보

 - 유럽방송연맹의 시그널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오프닝

 - TV시리즈 '아웃랜더' 시즌2 : The Skye Boat Song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2021. 8. 7. 15:54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샤를카미유 생상스(Charles-Camille Saint-Saëns, 프랑스, 1835.10.9 ~ 1921.12.16)가 1872년(37세) 작곡한 '첼로 협주곡 1번'입니다. 이 작품은 생상스의 작품들 중 최고의 작품으로 칭송을 받는 작품으로, 영국의 음악 사학자 도널드 프란시스 토베이 경은 '전혀 어려움이 없이 모든 음표를 정확히 지적해 주며 오케스트라를 꿰뚫는 작품'이라고 평하였으며, 쇼스타코비치, 라흐마니노프 등을 포함한 많은 대가들이 이 작품을 최고의 첼로 협주곡으로 인정하였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관례인 3악장 구성의 형식을 버리고 한 개의 악장으로 구성하는 혁신을 보였는데, 연주기호로 구분된 3개의 섹션으로 구분되기는 합니다. 첼로라는 악기가 노래하고 낮게 으르렁거리는 듯 연주하는 능력을 이 협주곡만큼 잘 뽐낼 수 있는 작품은 없다는 평가입니다.

1. 총 연주시간 : 19분
 (1) 1섹션[5분]: 알레그로 논 트로포 (너무 빠르지 않게)
 (2) 2섹션[5분]: 알레그로 콘 모토 (조금 빠르게)
 (3) 3섹션[9분]: 몰토 알레그로 (매우 빠르게)

2. 해설 : 죽기전에 꼭 들어야할 클래식 1001

3. 추천 음반
 (1) 첼로: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Mstislav Rostropovich

     지휘: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Carlo Maria Giulini

     런던 필하모닉, 1978
1섹션(5:32) 2섹션(4:55) 3섹션(8:51)

 (2) 첼로:재클린 뒤 프레

      Jacqueline du Pré

     지휘:다니엘 바렌보임

     Daniel Barenboim

     뉴 필하모니아, 1969
1센션(5:47) 2섹션(6:40) 3섹션(7:41)

 (3) 첼로:장한나(

     지휘: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Mstislav Rostropovich

     런던 심포니, 1996
1섹션(5:34) 2섹션(4:46) 3섹션(9:02) 


4. 추천 영상
 (1)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런던 필하모닉(20:10)
 (2) 고티에 카퓌송, 알랭 알티놀뤼, 프랑크푸르트 라디오 심포니(21:08)
 (3) 이정란, 서진, 부천 필하모닉(24:27)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