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SK의 라이프
블로그 이미지
P2SKLife
앱개발에 대한 정보와 취미인 음악감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250x250
반응형
2021. 7. 31. 14:32 음악/하루한클
728x90
반응형

오늘의 하루한클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독일, 1685.3.21 ~ 1750.7.28)가 1721년경에 작곡한 '관현악 모음곡 제2번'입니다. 프랑스 궁정에서 유입된 서곡(모음곡)의 양식에 독일적인 특성과 바흐의 원숙한 양식을 결합시킨 오케스트라를 위한 네 곡의 '관현악 모음곡'은 '브란덴부르크 협주곡'과 더불어 바흐의 대표적인 관현악곡입니다. 관현악 모음곡 3번에는 유명한 'G선상의 아리아'가 포함되어 있고, 관현악 모음곡 2번에는 총 7 곡(1. 서곡, 2.론도, 3.사라방드, 4.부레, 5.폴로네즈, 6.미뉴에트, 7.바디네리)이 있으며 그 중에 5번 폴로네즈, 6번 미뉴에트, 7번 바디네리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 론도 : 프랑스에서 발생한 옛 가창 형식이며 후에 기악 형식으로 발전. 주제부가 순환하는 사이에 대조적인 삽입부가 끼어 있는 형식.

# 사라방드 : 스페인에서 생겨난 3박자의 느린 춤곡.

# 부레 : 프랑스에서 생겨난 빠른 템포의 춤곡

# 폴로네즈 : 16세기 폴란드 궁정에서의 의식이나 귀족들의 참례 때의 음악으로 상요된 것이 후에 행진곡조엣 춤곡으로 바뀌어 유럽 각국의 궁정 무도회에서 인기를 얻게 됨.

# 미뉴에트 : 프랑스에서 생겨난 춤곡. 루이14세의 궁정에서 대단히 유행.

# 바디네리 : 춤곡의 명칭은 아니고 농담, 희롱, 익살 등의 프랑스어.


1. 해설 : 필유린님의 블로그
 
2. 추천 음반
 (1) 지휘:칼 뮌힝거

     Karl Munchinger

     슈튜트가르트 실내악단

  1.서곡(6:38)        2.론도(1:55) 

  3.사라방드(3:05)   4.부레(1:56)

  5.폴로네즈(3:28)  6.미뉴에트(1:20)

  7.바디네리(1:25) 

 (2) 지휘:트레버 피녹

     Trevor Pinnock

     잉글리쉬 콘서트, 1979
  1.서곡(6:09)        2.론도(1:58)  

  3.사라방드(2:53)   4.부레(1:56)

  5.폴로네즈(3:40)  6.미뉴에트(1:30)

  7.바디네리(1:32)

 (3) 지휘:네빌 매리너

     Neville Marriner

     성 마틴 인더필즈 아카데미,1978

  1.서곡(7:31)        2.론도(1:39) 

  3.사라방드(3:02)   4.부레(1:53)

  5.폴로네즈(2:58)  6.미뉴에트(1:16)

  7.바디네리(1:29)


3. 추천 영상
 (1)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베를린 필하모니커(19:54)
 (2) 네덜란드 바흐 쏘사이어티(20:01)
 (3) 암스텔담 바로크 오케스트라(19:44)

하루한클을 원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감상해보세요.

원스토어링크입니다> https://onesto.re/0000754703

KBS1FM이 선정한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곡을 대상으로 

하루 한곡씩 감상(하루한클)하고, 

퀴즈와 온라인 배틀을 할 수 있는 앱

728x90
반응형
posted by P2SKLife